성주류화(gender main streaming)란 무엇인가? #1
#1 대한민국 사회에 어느 순간부터 '젠더'라는 말이 통용되기 시작했다.
#2 원래 '젠더(Gender)'의 의미는 '생물학적으로 구성되는 남녀의 정체성,
신체와 정서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성(性)이며 여성다움, 남성다움을 통칭'한다.
그런데 이 용어는 페미니즘에 의하여 이데올로기로 사용되면서 생물학적인 성별과는
전혀 상관없이 '후천적으로 교육되고 숙련된 사회적 역할만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지기 시작했다.
페미니즘에서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주어진 생물학적 성(性, Geschlecht, sex)을
비판하며 사회적 성, 젠더(gender)가 생물학적 성과 무관함을 강조한다.
남성과 여성이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중심사회에서 권력을 가진 남성들에 의해 여성들에게 부과된 것이라는 점을 부각'
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프랑스의 페미니스트 실존주의 철학자인
'시몬느 드 보봐르'(Simone de Beauvoir, 1908-1986)도
"여자로서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3 이러한 젠더를 더욱 이론화 시킨 사람은 '주디스 버틀러'이다.
그녀는 레즈비언이면서 페미니스트이다.
'주디스 버틀러'는 글을 정말 이해하기 어렵게 쓰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버틀러 본인이 현 사회구조를 해체시키고 체제전복을 꾀하는 사람으로서
자신의 이러한 파괴적인 생각을 다른 사람들이 간파하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온갖 어려운 철학적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가렸기 때문에
대중들이 '굉장히 고도화된 이론'이라고 이해하게 만든다.
#4 문제는 이러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이론이 세계학계 엘리트들에게 환영받고 있으며이는 곧 정치적인 움직임과 실천으로 이루어져 전 세계 국가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이론이란 무엇일까?
또 그 현실화 되고 있는 사례들은 무엇인가?
#이어지는 글 : https://s-d-z.tistory.com/5
성주류화(gender main streaming)란 무엇인가? #2
주디스 버틀러가 1990년에 출간한 저서, 「젠더문제: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은 젠더이데올로기의 기초가 되는 책이다. 버틀러의 젠더이론은 다음과 같다. ---------------------------------------------
s-d-z.tistory.com